네트워크를 공부하던 중, “소켓은 결국 파일이다.” 라는 말과 운영체제에서의 소켓과 Websocket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NodeJS의 소켓추상화된 고수준 인터페이스실제로는 내부적으로 OS 소켓 API를 호출해서 커널 모드와 통신한다.운영체제에서의 소켓User Mode: 우리가 실행하는 앱이나 코드 (ex. Node.js)Kernel Mode: OS 내부 (디바이스 제어, 메모리 관리, 네트워크 통신 등)네트워크 통신을 하려면, 유저모드에서 시스템 콜을 통해 커널 모드에게 요청해야한다.네트워크 통신 뿐만 아니라, 유저모드와 커널 모드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그것이 파일로 구성되어있고 이를 소켓이라고 부른다. 이때, 소켓을 여는 주체는 프로세스이다.유저 모드에서는 소켓을..
1. 프록시 서버란?프록시 서버(Proxy Server)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처리하거나, 서버의 응답을 중계하는 중간 서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프록시를 통해서만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서버 역시 프록시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전달합니다.프록시 서버의 주요 기능보안: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직접 연결을 차단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캐싱: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싱하여 요청 처리 속도를 높입니다.IP 숨김: 클라이언트의 IP를 숨기고 대신 프록시의 IP를 사용합니다.접근 제어: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거나, 필터링합니다.로드 밸런싱: 여러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시스템의 부하를 줄입니다. 2. 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포워드 프록시는..
HTTP와 HTTPS의 차이점HTTP 통신에서 브라우저와 서버는 데이터를 일반 텍스트로 교환한다. HTT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기 때문에 제 3자가 데이터를 가로채고 읽을 수 있다. HTTPS는 이러한 HTTP 방식의 보안을 강화하고자 확장된 방식이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 보안계층(SSL/TLS)를 추가한 프로토콜-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안전하고 암호화된 연결을 생성- 모든 요청과 응답을 SSL(Secure Socket Layer) 및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 카드 정보나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 보호 가능SSL(Secure Sockets Layer)..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 네트워크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데이터와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시스템이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기술을 통해 구성되며, 정보의 교환, 파일 공유,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규모와 목적에 따라 LAN, WAN, MAN 등으로 구분된다.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패킷 단위로 전송된다. 패킷은 데이터와 함께 헤더 정보를 포함하며, 이 정보를 통해 수신지 주소와 경로를 지정한다. 데이터 전송 방식은 크게 다음과 같다.유니캐스트(Unicast):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멀티캐스트(Multicast): 하나의 송신자가 특정 그룹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
프로토콜이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규칙이다. - 명확하게 송수신된 메시지와 이러한 메시지가 송수신될 때나 다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취하는 행동- 둘 이상의 통신 개체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과 순서 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 이벤트에 따른 행동들을 정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정해진 규칙과 절차의 집합- 서로 다른 장치나 시스템이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통신할 수 있도록 보장 다음은 프로토콜의 필요성을 알려주기 위한 예시이다. 왼쪽 그림은 전형적인 의사소통 과정을 나타낸다.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먼저 인사를 한다. 안녕에 대한 일반적인 응답 역시 안녕이라는 메시지이다. 하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귀찮게 하지마", "한국말 못해요" 등 상대방이 의..
네트워크란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 - Network : 관계- Networking : 상호작용 컴퓨터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1. 패킷 교환2. 회선 교환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방식1. 데이터 분할: 큰 데이터를 작은 데이터로 나눈다.패킷: 큰 데이터를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나눈 것: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고 각 세그먼트에 헤더를 붙인 것 2. 전송 각 패킷은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이때,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를 거치게 된다. 패킷은 동일한 경로를 따르지 않을 수도 있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한다.패킷 스위치종류 : 라우터, 링크 계층 스위치대부분의 패킷 스위치는 저장 후 전달, 전송 (store and for..

두 달이 지나서야 후기를 작성할 시간이 났네요..ㅜ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지금까지 열심히 했던 일을 기록하는 두 번째 시간입니다. IT 행사 관련한 내용이 하나의 사건이다보니 작성하기 수월해요. 그래서 행사 관련 얘기를 먼저 다 적고 그 다음에 프로젝트,, 대회,, 이야기도 기록해보겠습니다. https://www.coupang.jobs/kr/life-at-coupang/coupang-news/%EC%84%9C%EC%9A%B8%EC%97%90-%EC%83%81%EB%A5%99%ED%95%9C-%EA%B8%80%EB%A1%9C%EB%B2%8C-%ED%95%B4%EC%BB%A4%ED%86%A4-%ED%95%B5%EC%84%9C%EC%9A%B8-hackseoul-2024/ 서울에 상륙한 글로벌 해커톤, ‘핵서울..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08.20 ~ 2024.08.21 에 진행됐던 AWS 리빙랩 글로컬 해커톤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당~ 후기를 작성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네요.. 8,9,10 월 동안 여러 일이 있었습니다. 이제야 조금 시간이 나서 그간 있었던 일들을 기록할 수 있네요. 지금까지 했던 모든 행사들도 빠짐없이 기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이 그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67620 서울과기대, ‘제2회 ART-AWS 리빙랩 글로컬 해커톤’ 성료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김동환, 이하 서울과기대)가 지난 20~21일, 이틀 간 대..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
- AWS
- 깃 예제
- JS
- 혼공학습단
- 혼공단 9기
- 자바스크립트
- 프로젝트
- 스페인
- 공룡책
- C++
- 혼공단 SQL
- Linux
- 리눅스
- Process
- Signal
- 혼공
- nodejs
- 스페인 교환학생
- MySQL
- JavaScript
- 운영체제
- 해커톤
- googleapis
- SQL
- 혼공단
- 백엔드 개발
- 개발일지
- 교환학생
- 백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