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념과 구조데이터 모델, 스키마, 인스턴스1. 데이터 모델모델(model)시스템, 프로세스, 현상에 대한 추상적인 표현이다.모델은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더 관리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며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ex1) UML “Model” class diagramex2) Mathematical “Model” of motionex3) Simulink state space “Model”데이터 모델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들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저장되고, 조작되는지를 정의하는 개념과 방법의 집합데이터 모델링 :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정보를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과정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1. 개념적(고수준) 데이터모델: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식..

학교에서 신경망을 C언어로 구현해보라는 과제를 받아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기록하면서 개발하면 잘되더라구욤ㅎㅎ..인공신경망을 구현해보기, C언어로 작성한다.- 최대 16개의 Layer - 각 레이어마다 노드는 최대 256개, 레이어마다 따로따로 개수 지정 가능 - 가능한 한 general하게, 나중에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게 좋음 - 레이어와 노드 수 입력은 알아서 구성해도 됨 - C언어 코드 파일, 결과 내용, 실험 결과가 포함된 간단한 설명이 포함된 문서 제출 설계전체적인 흐름신경망에서 계산되는 과정은 1. 입력을 받는다.2. Weight Table(가중치 테이블)과 Input Layer(입력 계층)을 곱한다. (행렬곱)3. Sigmoid Function(시그모이드 함수)를 적용시킨다. 다음 세..
https://www.acmicpc.net/problem/1920이번에 해결한 문제는 Baekjoon의 1920번 "수 찾기" 문제다. 이 문제는 N개의 정수 집합이 주어졌을 때, 주어진 수들이 해당 집합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다. 문제 자체는 단순해 보였지만, 중간에 실수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있었다. 문제 설명 N개의 정수가 주어진 후, M개의 다른 정수들이 그 N개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예를 들어, N개의 정수 집합이 `4, 1, 5, 2, 3`이고, 확인해야 할 수들이 `1, 3, 7, 9, 5`라면, 각 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1 또는 0으로 출력하면 되는 문제다. 처음 작성한 코드처음에는 이 문제를 `set` 자료구조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생..

1. 용어1. 데이터 (data)- 컴퓨터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행정 데이터, 의료 데이터, 성적 데이터, 실험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실세계의 일부를 표현하는 연관된 데이터들의 구조화된 집합ex)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 전화번호라는 작은 세계를 표현ex)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화라는 작은 세계를 표현)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DBMS는 운영체제와 함께 중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분류됨* 기능1. 데이터 저장 및 검색2. 보안 관리3. 데이터 무결성4. 트랜잭션 관리5. 백업 및 복구ex) Oracle, MS SQ..

가상화 ⚫ 단일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여러 가지 실행 환경으로 추상화하여, 개별 환경이 자신만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환상을 만들 수 있는 기술 ⚫ 가상 머신 사용자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단일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 간에 전환하는 방식과 유사) 가상화 소프트웨어 = 에뮬레이션을 포함하는 클래스의 구성원 에뮬레이션 : 소스 CPU유형이 대상 CPU 유형과 다른 경우에 사용 -> 에뮬레이트된 코드는 원래의 코드보다 느리게 수행된다. -> 에뮬레이션은 비용이 크다. ex) Apple사가 자신의 데스크톱과 랩톱 컴퓨터의 CPU를 IBM Power CPU에서 인텔 x86 CPU로 전환했을 때 "Rosetta"라는 에뮬레이션 설비를 포함하여 IBM CPU용으로 컴파일되었던..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는 CPU 시간, 메모리, 파일, 입출력 장치를 필요한 여러 가지 자원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자원은 실행되는 동안 할당된다.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할당받는 여러 가지 물리적 논리적인 자원들 이외에도, 여러 초기화 데이터(입력)도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운영체제는 재사용 가능한 자원을 회수한다. ex) 웹 페이지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세스에서, URL을 입력으로 제공받으며 적절한 명령과 시스템 콜을 실행한다. ⚫ 프로그램 : 수동적 (passive) -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의 내용 ⚫ 프로세스 : 능동적 (active) - 다음 수행할 명령을 지정하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를 가짐 한 프로세스의 수..

운영체제의 작동 부트스트랩 = 컴퓨터 시작 후 제일 처음 실행되는 프로그램 1. ROM(Read Only Memory)에 펌웨어로 저장되었는 부트스트랩 실행 2. CPU 레지스터에서 장치 컨트롤러, 메모리 내용 등 시스템의 모든 측면 초기화 3. 부트스트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 커널을 찾아 메모리에 적재 4. 커널이 적재되어 실행되면 시스템과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데몬 = 커널이 실행되는 전체 기간 동안 실행되는 시스템 :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커널 외부에서 제공 *시스템 프로그램 : 부팅할 때 메모리에 적재 : Linux에서 첫 번째 시스템 프로그램 - systemd (많은 데몬을 시작) 이 단계가 완료되면 시스템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린다. 트랩 = 사용자 프로그램 특정 요청 때문에 ..

CI/CD 작업 중에 ssh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다. ci/cd 글 내에서 정리하려했지만 트러블 슈팅을 정리하다보니 글이 길어졌다. ssh 연결 관련 에러를 겪고있을 누군가를 위해서 해결하는 과정을 따로 작성했다. 해당 글은 ssh 오류를 해결하는 전 과정이 담겨있으므로 해결방법만 알고싶다면 맨 끝 부분만 읽는 것을 권장한다. 에러 1. 서버에서 설정한 비밀번호가 맞지 않아서 Sorry, try again이 계속 나왔다. 해결 : 로컬 sudo 를 풀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했다........... 즉, 터미널은 서버 비밀번호를 원한 것이 아니라 로컬 sudo를 풀기 위한 비밀번호가 필요했던 것이었다. -> 로컬 sudo 용 비밀번호인지 모르고 왜 안되는지 모르는채로 2시간을 버렸다😩 sudo 비밀번호라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백준
- googleapis
- 개발일지
- JS
- 운영체제
- Linux
- 리눅스
- 자바스크립트
- 혼공단 SQL
- 깃 예제
- 혼공학습단
- 혼공
- Process
- AWS
- 스페인
- 교환학생
- 백엔드 개발
- 개발
- nodejs
- SQL
- C++
- 스페인 교환학생
- 공룡책
- MySQL
- 해커톤
- Signal
- 혼공단 9기
- 혼공단
- 프로젝트
- Java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