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모빌리티
- 모빌리티 == 이동성
- 교통수단에 IT가 접목된 것
- 사전적 의미 : 어디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
-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도시 인프라, 에너지, 데이터 기술과 맞물린다.
- 키워드
- 전기화
- 자율화
- 연결성
- ex) 킥보드 : 모바일 폰으로 킥보드를 예약하고, GPS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되어있다.
주요기술
1. 자율주행
사람의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
차량이 스스로 인지→판단→제어하는 능력을 갖는 것
장점
- 교통사고 감소 (인간 오류 제거)
- 운전 시간 절약
- 노인·장애인 등 교통 약자 지원 가능
단점
- 윤리적 문제 (사고 시 책임 소재)
- 도심 환경에서의 인식 오류
- 인프라 부족 및 법·제도 미비
해결 방안
- 고정밀 지도와 AI의 강화학습 결합, 윤리 기준 마련, 시범지역 확대 통한 실증 강화
단계 명칭 설명
| Level 0 | 비자동화 (No Automation) | 모든 운전 제어를 사람이 함. (예: 경고음, 크루즈 컨트롤도 X) |
| Level 1 | 운전자 보조 (Driver Assistance) | 특정 기능만 자동화 (예: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조향 또는 가감속 중 하나만) → 운전자는 항상 제어 유지 |
| Level 2 | 부분 자동화 (Partial Automation) | 조향 + 가감속 동시 자동 제어 가능 (예: 현대 HDA, 테슬라 Autopilot) → 운전자가 항상 감시하고 개입 가능해야 함 |
| Level 3 | 조건부 자동화 (Conditional Automation) | 일부 조건 하에서 차량이 전부 제어 (예: 고속도로) → 필요시 운전자가 즉시 개입해야 함 (예: 현대 레벨3 인증 G90) |
| Level 4 | 고도 자동화 (High Automation) | 특정 구역(지정 구간) 내에서는 운전자 없이도 완전 자율주행 가능 → 외부 조건만 맞으면 사람 개입 없이 운행 가능 (예: Waymo 자율주행 택시) |
| Level 5 | 완전 자동화 (Full Automation) | 모든 도로·모든 조건에서 사람이 아예 필요 없음 → 핸들, 페달 없는 차량 가능 → 현재는 연구·실험 단계 |
2. 전기차
전기차는 내연기관(휘발유/디젤) 대신 배터리와 전기 모터로 움직이는 차량
전기차는 친환경성과 경제성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충전 인프라와 배터리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보급 확대의 핵심 과제이다.
장점
- 탄소 배출 감소
- 연료비 절감
- 유지보수 비용 절감
단점
- 충전 인프라 부족
- 배터리 원자재의 환경 문제
- 주행거리와 충전시간에 대한 불안
해결 방안
- 초고속 충전 기술 개발, 재활용 가능한 배터리 연구,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3. MaaS (Mobility as a Service)
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대중교통, 택시, 자전거, 킥보드, 카셰어링 등을 하나의 앱이나 서비스에서 예약,결제,경로 안내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핵심 요소로는 통합 플랫폼, 개인 맞춤형 경로 제공, 정산 및 과금 통합이 있다.
예시
- 한국
- 카카오T, 서울지하철 앱 연동
- 아직 완전한 MaaS는 아니다.
- 핀란드
- Whim 앱
- 세계 최초의 MaaS 상용 서비스
- 버스, 트램, 택시, 렌터카, 공유자전거 모두 통합
장점
- 통합된 교통 수단 이용 가능 (앱 하나로 택시+지하철+버스 등)
- 개인 차량 소유 부담 감소
- 도시 혼잡 해소 및 환경 개선
단점
- 초기 투자비용 큼
- 데이터 프라이버시 우려
- 공공·민간 협업 문제
해결 방안
- 공공기관 주도 표준화 및 민간 협력, 데이터 보안 프레임워크 마련, 사용자 중심 UX 개선
4.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인터넷과 실시간으로 연결된 차량
차량이 다른 차량(V2V), 인프라(V2I), 네트워크(V2N), 사람(V2P)등과 통신하며, 정보를 주고 받고 판단하여 동작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술 요소 설명
| V2X (Vehicle to Everything) | 차량과 주변 요소(차량, 인프라, 보행자 등) 간 통신 기술 |
| 5G/6G 통신 | 초저지연·고속 통신으로 실시간 정보 전달 |
| OTA (Over-the-Air) 업데이트 | 차량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 |
| IoT 플랫폼 연동 | 스마트홈, 스마트시티와 연계 가능 |
| 클라우드·빅데이터 | 주행 패턴, 교통상황 데이터 분석 및 활용 |
| 음성 인식 / AI 비서 | 차량 내 음성 제어 및 인포테인먼트 제공 |
장점
- 실시간 교통·안전 정보 제공: 사고, 정체 구간 회피 가능
- 차량 상태 모니터링: 고장 예측, 정비 시기 알림
- 편의성 향상: 스마트폰으로 시동/공조 제어, 주차 위치 확인 등
- OTA 업데이트: 서비스 센터 방문 없이 기능 업그레이드
- 자율주행과의 연계성↑: V2X는 자율주행의 핵심 기반
단점
- 개인 정보 보호 문제: 운전 위치, 패턴, 음성 정보 등 민감 데이터 수집
- 사이버 보안 리스크: 해킹 시 차량 제어 가능성 존재
- 표준화 부족: 제조사·국가별 통신 규격 상이
1. 배경
- 개념: IT와 AI, 통신, IoT 등을 결합한 현대 교통 생태계로, 개인·공유·자율주행·도심항공(UAM) 등 다양한 이동수단과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
- 도입 배경: 도시화 확대, 환경규제 강화, 5G·AI·IoT 기반 기술 발달로 전통적인 개인차 중심 이동에서 벗어나 공유·친환경·연결 이동으로 전환 추세 .
- 장점:
- 환경친화: 전기화·수소화·자전거/스쿠터 통한 탄소 저감 .
- 편의성 개선: 실시간 호출·통합예약 기반 Mobility‑as‑a‑Service(MaaS) .
- 효율성 향상: 자율주행과 V2X 통신을 통한 교통체계 최적화 및 인프라 비용 절감 .
2. 활용 분야
- 퍼스널 모빌리티: 전기 스쿠터·전자 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 수단 .
- 공유 모빌리티: 라이드헤일링(Uber 등)·공유 스쿠터/자전거 등 .
- 자율주행차량: 각 단계(L1~L5)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 적용 차량 .
- 도심항공(UAM)/eVTOL: 도심 항공 이동수단 및 항공택시 연구·실용화 추진 .
- 대중교통 인프라: 스마트 신호·철도(V2X 기반)·스마트 주차·전기차 충전망 등 .
3. 리스크
- 안전 문제: 퍼스널 모빌리티 사고, 공유 스쿠터 충돌, EV 화재 위험 등 .
- 법·제도 규제 미비: 도로교통법상 정의·운행노선·자율주행·UAM 법적 공백 존재 .
- 사이버 보안·프라이버시: V2X·MaaS의 개인정보 유출 및 해킹 취약성 .
- 산업 확산 장애: 기술뿐 아니라 정치/산업/법률 이해관계 충돌로 서비스 확장 차질 .
- 인프라·배터리 과제: EV 화재 대응, 배터리 안전 인증, 충전 인프라 안정성 부족 .
4. 극복 방안
- 제도 개선
- 퍼스널 모빌리티 도로 이용 기준, 자율주행/UAM 운행 규제 정비 .
- EV 배터리 인증 제도, 충전기 표준화, 화재 예방 대응책 수립 .
- 보안 강화
- 차량·교통시스템에 보안·프라이버시 준수 체계(암호화, 개인정보관리) 도입 .
- 인프라 확충
- 스마트 주차·전기차 충전·수소 충전소·도로 인프라 스마트화 .
- 산업 협력 및 기업 혁신
- 울산 수소도시 등 지자체-기업-연구기관 협업, UL 배터리 테스트센터 설립 등 공공·민간 협력 강화 .
- 기술 신뢰성 확보
- 자율주행·eVTOL 신뢰성 시험, V2X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리던던시 중심 개발 .
5. 출처 및 최신 동향
- EV·자율주행 투자 확대: 현대·기아 등, 2025년 EV 등에 16.7 조원 추가 투자 .
- EV 화재 대책 강화: 배터리 인증 확대, 화재 방지 충전소 법제화 .
- UAM 도심 항공 상용화: 2025~2028년 우버에어, 현대호 등 시범 운영 → 상용화 .
- 자율주행·V2X 급성장: 2024년부터 자율차 시장 연평균 29% 성장 예상 .
- 퍼스널·마이크로 모빌리티 성장: 한국 시장 2024년 약 3.5억 달러, 2035년까지 18억 규모 예측 .
- 데이터 및 보안 규제 강화: MaaS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정책·법 강화 움직임 .
728x90
'👩🏻💻개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싸피 14기 합격 후기 ✨ (1) | 2025.09.29 |
|---|---|
| 백앤드 성능 테스트 전, 기초 지식 정리! (3) | 2025.06.14 |
| 블록체인과 NFT, 그리고 Web3의 이해 (7) | 2025.06.11 |
| 5G 알아보기 (3) | 2025.06.10 |
| 핀테크 알아보기 (3) | 2025.06.09 |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개발일지
- Process
- Signal
- 스페인
- googleapis
- 프로그래머스
- 운영체제
- 스페인 교환학생
- 공룡책
- JavaScript
- JS
- 혼공단 9기
- 교환학생
- 개발
- 혼공학습단
- 백준
- 깃 예제
- 프로젝트
- 혼공
- 리눅스
- 혼공단
- AWS
- MySQL
- nodejs
- 자바스크립트
- C++
- Linux
- 혼공단 SQL
- SQL
- 해커톤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