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서브넷(Subnet)이란?
서브넷(Subnet, Subnetwork)은 네트워크를 더 작은 논리적 네트워크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안을 강화하며, 효율적으로 IP 주소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 서브넷의 필요성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서브넷을 나누면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이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됩니다.
- 보안 강화: 특정 서브넷 간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아집니다.
- IP 주소 관리 최적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서브넷을 사용하면 IP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서브넷을 구분하는 기준은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입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Network)과 호스트 부분(Host)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 예시
서브넷 마스크이진수 표현서브넷 개수
255.0.0.0 |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1 개 (A 클래스) |
255.255.0.0 |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256 개 (B 클래스) |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65,536 개 (C 클래스) |
- 클래스 A(8비트 네트워크): 255.0.0.0 (예: 10.0.0.0/8)
- 클래스 B(16비트 네트워크): 255.255.0.0 (예: 172.16.0.0/16)
- 클래스 C(24비트 네트워크): 255.255.255.0 (예: 192.168.1.0/24)
3. CIDR 표기법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은 IP 주소 뒤에 서브넷 마스크의 비트 수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 예시
- 192.168.1.0/24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네트워크 24비트, 호스트 8비트)
- 10.0.0.0/16 →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네트워크 16비트, 호스트 16비트)
4. 서브넷 개수 계산 방법
서브넷을 나눌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개수를 계산하는 공식이 있습니다.
서브넷 개수 공식
서브넷 개수=2n\text{서브넷 개수} = 2^n
(nn = 빌려온 호스트 비트 수)
호스트 개수 공식
호스트 개수=2h−2\text{호스트 개수} = 2^h - 2
(hh = 남은 호스트 비트 수, -2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 예제) 192.168.1.0/26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92 (26비트 사용)
- 서브넷 개수: 226−24=22=42^{26-24} = 2^2 = 4
- 호스트 개수: 26−2=64−2=622^{6} - 2 = 64 - 2 = 62
5. 서브넷 분할 예제
192.168.1.0/24 네트워크를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려면?
- 기본 네트워크: 192.168.1.0/24
- 필요한 서브넷 개수: 4개 → 2^2 = 4 (2비트 필요)
- 새로운 서브넷 마스크: /26 → 255.255.255.192
- 새로운 서브넷 범위
- 192.168.1.0/26 (호스트 범위: 192.168.1.1 ~ 192.168.1.62)
- 192.168.1.64/26 (호스트 범위: 192.168.1.65 ~ 192.168.1.126)
- 192.168.1.128/26 (호스트 범위: 192.168.1.129 ~ 192.168.1.190)
- 192.168.1.192/26 (호스트 범위: 192.168.1.193 ~ 192.168.1.254)
6. 서브넷 활용 사례
1. 회사 내부 네트워크
- 부서별로 서브넷을 분리 (IT팀, 회계팀, HR팀 등)
- 부서 간 트래픽을 분리하여 보안 강화
2.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 프라이빗 네트워크와 퍼블릭 네트워크를 분리
-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부 서비스 등을 별도 서브넷으로 구성
3. 보안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분리
- IoT 기기, 게스트 Wi-Fi, 내부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 위협 차단
7. 서브넷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
- 온라인 서브넷 계산기
- ipcalc, subnetcalc 등의 CLI 도구 활용
728x90
'👩🏻💻개발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0) | 2025.01.23 |
---|---|
HTTP 프로토콜 (0) | 2025.01.10 |
네트워크 스터디 1주차 (3) | 2025.01.03 |
프로토콜 (0) | 2025.01.03 |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패킷 교환, 회선 교환 (0) | 2025.01.03 |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혼공단 9기
- googleapis
- 공룡책
- AWS
- nodejs
- 개발일지
- Process
- 해커톤
- 교환학생
- 혼공학습단
- 백엔드 개발
- 깃 예제
- SQL
- Linux
- 리눅스
- 혼공
- 개발
- Signal
- JavaScript
- 백준
- 스페인 교환학생
- JS
- 자바스크립트
- 스페인
- C++
- 혼공단
- MySQL
- 프로젝트
- 운영체제
- 혼공단 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