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AWS EC2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올려서 로컬이 아닌 서버에서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C2 인스턴스 준비하기
데이터베이스를 서버에 올리려면 먼저, 서버가 준비되어있어야합니다.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EC2를 선택한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2/home?region=ap-northeast-2#Home:
인스턴스 시작하는 과정은 다음 포스팅에 나와있습니다!
https://hasumang.tistory.com/58
2. EC2 보안 인바운드 규칙 열어주기
DB를 사용하기 위해서 포트를 열어줘야합니다. 다음 포스팅을 보고 인바운드 규칙에서 3306번 포트를 열어주세요!!!
https://hasumang.tistory.com/69
3. MariaDB 다운받기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과정입니다. 인스턴스 화면에서 연결을 클릭해주세요!
인스턴스에 연결 후 MariaDB를 다운받아야합니다. MySQL 사용하시는 분들도 이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1.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get upgrade
2. MariaDB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y
3. 시스템 시작할 때 DB가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sudo systemctl start mariadb
4. 보안 설정을 합니다.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나오는 모든 질문에 n으로 대답합니다.
4. 데이터 베이스 생성하기
1. 데이터베이스에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합니다.
sudo mysql -u root -p
2.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합니다.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3. 데이터베이스 계정을 생성합니다.
create user '아이디'@'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4. 계정에 권한을 부여합니다.
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이름.* to '아이디'@'0.0.0.0' IDENTIFIED BY '패스워드';;
grant all privileges on *.* to '아이디'@'0.0.0.0' IDENTIFIED BY '패스워드';;
5. 원격 IP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합니다.
cd /etc/mysql/mariadb.conf.d/
sudo vi 50-server.cnf
나타난 화면에서 bind-address = 127.0.0.1 를 bind-address = 0.0.0.0 로 변경하고 저장합니다.
vi 편집기로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i 누르면 수정할 수 있고 esc 누른 후 :wq를 입력하면 저장 후 나갈 수 있습니다.
6. MariaDB를 재시작합니다.
service mysql restart
5. 확인하기
1. 접근 권한을 확인합니다.
show grants for '아이디'@localhost;
2. 외부 IP 접속 설정을 확인합니다.
netstat -ntlp | grep 3306
netstat명령어를 통해 호스트에 장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연결상태, 프로토콜 등) 상태를 확인합니다. 127.0.0.1이 아닌 0.0.0.0이어야합니다.
3. 인바운드 규칙에 3306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합니다.
6. Datagrip에서 연결하기
본인 노트북에서 DB에 접근하면 됩니다. 저는 Datagrip 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Database Explorer 밑에 있는 + 버튼 -> Data Source -> MariaDB 를 누르면 우측 사진과 같은 창이 뜹니다.
- Name : 본인이 원하는 DB 이름 (한글도 가능)
- Host : DB 연결한 서버 IP (=인스턴스 퍼블릭 IP 주소)
- Port : 3306
- Authentication : User & Password
- User : 권한 부여한 사용자 아이디
- Password : 권한 부여한 사용자 비밀번호
다음을 입력한 후 Ok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는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았기때문에 DB만 뜹니다. 만약 안뜨는 경우에는 DB 이름 옆 0 of 4 를 클릭하신 후 본인이 만든 DB를 클릭하면 나타납니다.
이상으로 EC2에 Database 넣는 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공부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pring Boot EC2에 배포하기 (0) | 2024.03.23 |
---|---|
[Nginx] NodeJS, React 서버 배포하기 (0) | 2023.07.24 |
AWS EC2 인스턴스 인바운드 규칙 편집 (0) | 2023.07.18 |
AWS EC2 개념 및 배포하기 (0) | 2023.06.20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0) | 2023.06.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리눅스
- MySQL
- 혼공단
- Signal
- 공룡책
- 개발
- JavaScript
- 스페인 교환학생
- 자바스크립트
- Linux
- AWS
- nodejs
- 혼공
- 개발일지
- 백엔드 개발
- 교환학생
- C++
- SQL
- 백준
- 스페인
- 혼공학습단
- 혼공단 SQL
- 혼공단 9기
- 해커톤
- 운영체제
- googleapis
- Process
- 프로젝트
- JS
- 깃 예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